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재테크일기/부동산일기13

국민주택채권 증권사 장내매도 후기 (만기 전 매도) 재작년에 아파트를 매수하면서 당시 금리가 너무 높아서 국민주택채권을 매입 후 즉시매도하지 않고,증권사에 보유하고 있었다. 아래는 당시 직접 국민주택채권 매입한 후기 🔽 국민주택채권 은행창구 셀프매입 & 보유 후기 | 하나은행부동산 매수 시에 반드시 구매해야하는 것 중 하나인 국민주택채권 보통은 법무사를 쓰는 경우에 매입후 할인율을 적용해서 바로 매도하기 때문에 이런게 있는지도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unmiracleusualmorning.tistory.com 당시 즉시매도 했다면 내가 내야 하는 금액이 백만 원이 넘었는데,2년이 지나서 금리가 많이 떨어지면서 내가 구매한 금액대비 손해 보는 금액(?)이 십만 원대로 낮아졌다. * 미래에셋증권의 경우 구입한 국민주택채권은메뉴 > My채권 에서 확인할 수.. 2025. 6. 15.
국민주택채권 은행창구 셀프매입 & 보유 후기 | 하나은행 부동산 매수 시에 반드시 구매해야하는 것 중 하나인 국민주택채권 보통은 법무사를 쓰는 경우에 매입후 할인율을 적용해서 바로 매도하기 때문에 이런게 있는지도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은데, 요즘 처럼 금리가 높을 때는 이 할인율이 10% 넘게 올라버림!! (11월에 매수 진행한 나의 경우 14% 였다!) 보통 국민주택채권 가격이 몇 백이 넘기때문에 할인율 10% 면 몇 십만원 많게는 몇 백만원까지 그냥 손해보고 파는게 된다. 그래서 요즘 국민주택채권을 즉시 매도하지않고 보유하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한다. 국민주택채권 보유시 장점과 단점 장점 5년 보유하면 만기시 복리1% 정도의 이자를 붙여서 원금에 이자까지 받을 수 있다. 때문에 지금처럼 할인율이 높을 때는 할인율 만큼의 손해액+이자까지 지킬 수 있음!! .. 2023. 12. 7.
과거 서울 아파트 부동산 흐름 | 부동산 사이클 너나위 님의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책을 읽고 정리해본 2008-2013 하락기 지난 상승장의 여파로 공급 많음. 전세가 하락, 매매가 하락 2012-2014 반등 시작 매매가 하락or약보합, 전세가 꾸준히 상승 2014-2016 서서히 상승장으로 돌입 건설사 분양개시, 미분양 소진. 신축 매매가or분양가 상승에 따라 주변 단지도 키맞추기 매매가, 전세가 동반 상승 2017-2018 서울 강남 상승 이슈 -> 주변으로 퍼짐 정부규제 시작. 공급이 늘어나고 분양 완판 매매가 상승, 전세가 보합or약하락(공급 증가로 인해) 2019년에 나온 책이라 책 내용은 여기까지 여기서부터는 내가 추가한 내용 2019 정부 규제의 풍선 효과로 부동산 폭등 시작 서울에서의 기운이 지방으로 퍼져가기 시작 2020-2022.. 2023. 4. 21.
부동산은 내 예상대로 흘러가지 않는다 | 계획의 한계와 대응의 필요성 부제 : 청약을 노리고 소형저가 주택을 매매했으나... 21년 초, 나는 지방의 소형저가주택을 실거주용으로 매수했다. 청약에 무주택으로 잡히는 소형저가주택의 기준은 1.전용면적 60m2 이하 이면서 2. 공시지가가 서울 1억이하, 지방 8천만원 이하인 주택을 말한다. 내가 매수한 아파트의 경우 전용면적 39m2, 약 17평이고 당시 공시지가 6천만원대의 소형저가주택 조건을 만족하는 아파트였다. 이 아파트를 선택한 기준은 첫 째, 현 직장과 가까웠고(직주근접이 짱이다!!), 둘 째, 부동산 폭등기였던 21년 초 집값이 고공행진하던 다른 아파트, 다른 평수에 비해서 작은 평수이다보니 가격의 오름폭이 크지 않았다, 셋 째, 소형저가주택이기 때문에 이곳에 거주하면서 민간분양 무주택 조건으로 청약을 노려볼 생각이.. 2023. 3. 23.
부동산이 떨어지는 시기 내집마련하기 위해 해야할 일 - 월급쟁이부자들TV 유튜브 리뷰 월급쟁이부자들TV 유튜브 서울 기준 1.PIR 12 2.전세가율 60% 일 때가 집값이 싼 시기(내 집마련하기 좋은 시기) 현재 서울은 PIR이 빠르게 12에 가까워지고 있지만, 전세가가 같이 빠지면서 전세가율은 아직 낮음. 따라서 아직 조급할 필요 없다. 하지만 내집마련하기 좋은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 내집마련 필수요건 1. 내집마련 의지 2.최소한의 종잣돈 3.시장에 대한 관심 4.행동 메뉴얼 1. 왜 내집마련을 해야할까, 내집마련의 의미를 알아야함. 주변에 비슷한 생각과 목표를 가진 사람들을 만나야함. 2. 저축률을 높여야함. 70% 이상 저축하자. 3. 흔들림 없이 시장을 판단하는 기준을 알아야함. 자기안의 체계화된 지식과 기준. 4. 실패없는 내집마련을 위한 순서. 체크리스트(갖고싶다....ㅜㅜ.. 2023. 3. 23.
반응형